목회신학
오랜 세월 동안 목회신학은 단순히 안수 받은 목사들의 사역에 대한 연구 분야로 여겨졌다. 즉, 목회적 돌봄, 설교학, 예전학, 교회행정 등 신앙을 기독교적인 삶 전반에 적용하는 목회사역에 대한 연구였다. 초기 목회신학자 시워드 힐트너(Seward Hiltner)는 목회신학은 교회와 목회자의 모든 기능과 사역에 적용되는 목양적 관점(shepherding perspective)에 대한 연구요, 이러한 관찰에 대한 성찰로부터 다시금 신학적 결론을 도출하는 것으로 정의한 바 있다.
최근 목회신학은 여성신학, 흑인신학이나 남미 해방신학 등 파편화된 사회문화적인 현실과 인간 실존에 대한 비판적 대응에 직면하여, 더 이상 현장 목회자의 실천적 사역에 국한하는 연구 분야로 존재하지 않는다. 현대 목회신학은 모든 이론은 실천을 전제하고, 모든 실천은 이론을 암시한다는 점을 바탕으로 이론신학과 목회적 실천의 상호연관성을 비판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연합신학대학원 목회신학 전공(Master of Divinity)의 신학도들은 종합대학 내에서의 장점을 살려, 현대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이슈를 다각도로 성찰하고, 목양적인 관점에서 실천적 대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자신만의 ‘신학 하기의 방법’(a way of doing theology)을 연습할 것이다. 목회신학 과정 졸업생들은 독립교단에서 안수를 받고 현장 목회는 물론 다양한 대안목회나 신학대학 교수 및 각종 기관목회 분야로 진출할 수 있다.
For centuries, pastoral theology simply meant reflection on the work of the ordained pastor. It included pastoral care, homiletics, liturgics, and administration as actions of ministry that applied the faith to living the Christian life. Seward Hiltner articulated: Pastoral theology brings the shepherding perspective to bear upon all the operations and functions of the church and the minister, and then draws conclusions of a theological order from reflection on these observations.
More recently, this perspective has been critiqued from feminist, African-American and liberationist perspectives, and furthered challenged by the fragmentation of contemporary societies. Pastoral theology is no longer considered as an art of applying theory to practice in a pastoral context. Every theory has implied practices and all practices have implicit theories. The discipline of pastoral theology outlines the methodologies by which the reciprocity between theological theory and pastoral practice is articulated and criticized.
The students in the M.Div. program of the United Graduate School of Theology, within a huge university setting, will be able to reflect upon the diverse contemporary issues in the world on based on interdisciplinary learning, and practice ‘a way of doing theology’ on their own to figure out a practical action and strategy from a shepherding perspective. M.Div. graduates may engage in parish ministry after being ordained in an independent denomination, and take other chances for various alternative ministries, teaching ministry and institutional ministry in many other Christian organizations.
TGO6106-01 | 예언서해석 | The Proph. Lit. |
TGO6002-01 | 기초히브리어 | Hebrew 1 |
TGO6061-01 | 이스라엘 역사 | History of Israel |
TGO6001-01 | 구약개론 | Introduction to the Old Testment |
TGO6060-01 | 오경해석 | Inter. of the Pentateuch |
TGO6112-01 | 복음서새롭게읽기 | |
TGO6003-01 | 신약개론 |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
TGO6004-01 | 기초희랍어 | Greek 1 |
TGO6042-01 | 신약신학 | New Testament Theology |
TGO6105-01 | 한국기독교사상사 | Thought of Korean Christianity |
TGO6111-01 | 종교개혁사 | Renaissance |
TGO6078-01 | 현대신학사 | History of Modern Theology |
TGO6099-01 | 중세교회사 | Medieval Church History |
TGO6007-01 | 초대교회사 | Early Church History |
TGO6022-01 | 종교개혁사 | Reformation History |
TGO6119-01 | 한국교회 선교사 | |
TGO6031-01 | 한국정치와 기독교 | |
TGO6103-01 | 정치신학 | Political Philosophy and Theology |
TGO6107-01 | 신학개론 | Introduction to Theology |
TGO6113-01 | 종교사회학 | Sociology of Religion |
TGO6117-01 | 다종교상황과기독교 | |
TGO6110-01 | 실천신학개론 | |
TGO6009-01 | 기독교교육학개론 | Introduction to Christian Education |
TGE6019-01 | 기독교윤리 | Christian Ethics |
TGO6115-01 | 교회와국가 | Church and State |
TGO6021-01 | 현대사회와 미래교회 | |
TGO6008-01 | 기독교 윤리학 | Christian Ethics |
TGO6101-01 | 목회상담학 | Pastoral Counsel |
TGO6114-01 | 정신질환자를 위한 목회적 돌봄 | |
TGO6118-01 | 다문화와 목회상담 | Multicultural Counseling in Relation with Pastoral Care |
TGO6020-01 | 선교학개론 | Introduction to Missionary |
TGO6104-01 | 목회실습 1 | Field Work for Church Ministry 1 |
TGG6044-01 | 임상목회교육실습(C.P.E.) | C.P.E. |
TGO6108-01 | 목회실습II | Field Workd for Church Ministry II |
THE8630-01 | 목회신학방법론 | Methods in Pastoral Theology |
TGO6010-01 | 목회신학 | Pastoral Theology |
TGO6116-01 | 예배설교학 | Christian Public Worship |
TGO6030-01 | 설교학의 이론과 실제 |